공부/computer science13 예외 처리를 하는 이유 논리 오류 때문이다. 논리 오류란? -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의 논리적 결함에 의해 발생하는 오류 런타임 시간에 발생한다. 오류의 원인이 코드에 있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미리 방지할 수 있다. 이를 예외 처리 (Exception Handling) 라고 한다. ex) Swift의 do-catch, Python의 try-except, Ruby의 begin-rescue 코드 예시 (Swift) do { try // 오류 발생 가능코드 (= 시도해 볼 동작) //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실행할 코드 } catch 오류 패턴 { // 처리 코드 } catch 오류 패턴2 where 추가 조건 { // 처리 코드 } /*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곳을 예측해서 → try 가 붙은 부분들은 코드가 잘못 됐더라.. 2022. 3. 18. JPEG vs PNG JPEG(JPG)와 PNG의 차이점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👀 공통점 - 이미지 파일에 사용되는 형식이며, 이미지의 품질과 파일 크기 등에 대한 요구 사항에 맞게 대응되도록 설계되었다. 👀 차이점 1. JPEG - 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의 약어 (형식을 개발한 그룹 이름임) - 표준 압축 형식이다. - 디테일을 일부 희생시켜 파일 크기를 줄이는데, 저장한 후에 손실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어 필연적으로 정보 손실을 발생시킨다. → 다시 편집해야 하는 경우 품질이 저하된다. → 보관 이미지 형식으로는 적절하지 않다. - 카메라•스캐너의 압축 형식으로 많이 사용된다. →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, 넓은 범위의 색을 지원하기 때문이다. 2. PNG - P.. 2022. 3. 17. Encoding 그간 자주 봤던 인코딩과 그 방식, UTF-8 등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인코딩 컴퓨터는 정보를 binary 단위로 저장한다. ex - 0101010111(2) 하지만 이렇게 표현된 정보들을 사람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사용하기에는 쉽지 않다. 컴퓨터도 마찬가지일 것이다. 서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 저장하고 보여줘야 한다. 알파벳으로 예를 들자면, A = 65 이를 이진법으로 변환하면 1000001(2) 즉 A = 65 = 1000001(2)가 되는 것이다. 이와 같이 컴퓨터는 모든 문자열마다 각각의 숫자를 정하고 매긴 문자열 집합을 생성한다. 사람이 컴퓨터에 문자를 입력하면 → 컴퓨터는 바이너리 숫자로 저장하고 → 다시 화면에 띄울 때에 문자열 집합에서 하나씩 찾아서 보여주는 것.. 2022. 3. 14. 이전 1 2 3 4 5 다음